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PA
- 프로그래머스
- 웹팩
- React-Three-Fiber
- CSS
- 프레임워크
- 오름차순
- reduce함수
- 반복문
- 코딩테스트
- react
- Programmers
- Javascript
- 코딩문제
- 헬스
- map함수
- for문
- 리엑트
- axios
- 배열뒤집기
- threejs
- 코딩공부
- 자바스크립
- 코딩
- codingtest
- 자바스크립트
- 머쓱이
- 코딩연습
- 운동
- 코딩입문
- Today
- Total
목록자바스크립트 (46)
SG의 개발 공부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저장소라고 간단하게는 알고 있었지만, 이 세가지가 어떻게 다르고 차이점이 그리고 어디에 쓰이는지를 헷갈릴 때가 많아서 한번 더 스토리탤링으로 이해하고 정리하게 되었다. 스토리텔링 나는 사우나를 개업했다. CEO는 처음이었고 미숙했다. 이 사우나에는 회원등록을 하고 입장하는데 여러 내부시설과 음식상점, 보관함 등을 사용한 뒤 마지막에 나갈 때 총결제를 해야 한다. 하지만, 회원이 어떤 음식을 먹었고 어떤 시설을 이용했는지, 사장인 나는 아무것도 없이는 파악하기 어려웠다.. 회원 한 명 한명 따라다니면서 외울 수 도 없고.. 그래서 사장인 나는 회원들에게 입장할 때 회원들마다 메모할 수 있는 책(쿠키)을 주었고, 시설을 사용하거나 음식결제 사고 싶은 물건 찜해두기..

프로젝트 작업을 하면서 로컬스토리지에 값을 넣고 가져오는 작업을 하다가 사용법을 정리하게 되었다. 그전에 localStorage가 무엇인지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했다. 먼저, WEB STORAGE 란? 데이터를 서버가 아닌 클라이언트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쿠키와 비슷한 기능이지만, 쿠키 같은 경우에는 4kb까지밖에 저장공간을 가지지 못한다. 하지만 web storage는 대략 5mb의 저장공간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의 구조는 key - value로 돼있으며, 문자열로만 저장 또는 반환된다. Local Storage 란? 데이터를 브라우저에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며, 브라우저를 종료하고 다시 시작을 하더라도 데이터가 남아있다. 그리고 다른 창으로 띄운 브라우저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데이터 넣기..

피자 나눠 먹기(1) 문제 설명 머쓱이네 피자가게는 피자를 일곱 조각으로 잘라 줍니다. 피자를 나눠먹을 사람의 수 n이 주어질 때, 모든 사람이 피자를 한 조각 이상 먹기 위해 필요한 피자의 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1 ≤ n ≤ 100 입출력 예 n result 7 1 1 1 15 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7명이 최소 한 조각씩 먹기 위해서 최소 1판이 필요합니다. 입출력 예 #2 1명은 최소 한 조각을 먹기 위해 1판이 필요합니다. 입출력 예 #3 15명이 최소 한 조각씩 먹기 위해서 최소 3판이 필요합니다. 풀이 인원 수 n 을 한판에 7조각 을 나누었을때 나머지값이 0이면, 7의 배수라서 딱 맞아 떨어져서 n / 7 의 값을 그대로 retur..

React를 중점으로 둘 거지만 React 대안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 거다 React는 React는 간결하고 집중된, 컴포넌트 기반 UI라이브러리이다. 컴포넌트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외에 내장된 기능은 많지가 않다. Routing이라는 기능을 쓰고 싶으면 외부패키지를 가져와야 한다. 리엑트자체는 화면에 어떤 요소를 보여주고 업데이트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사용자 지정 HTML elemnet를 만들 수 있게 해 준다. 이런 컴포넌트들 중점이 리엑트의 관심사이다. Angular는 더 다양한 내장 기능을 가진 리엑트의 대체로 Angular (앵귤러)가 있다. Angular 역시 인기 있는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이다. 리엑트처럼 컴포넌트 중점 기반 UI 프레임워크이다. 하지만 리엑트보다 더 내장된..